본문 바로가기

자취생

브릿지나 AP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유선공유기1이 게이트웨이고 무선공유기2와 무선공유기3이 브릿지나 AP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유선공유기1에서 DDNS와 포트포워딩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만일 각 공유기들이 모두 게이트웨이 역활을 하게 해두셨다면 무선2와 무선3은 브릿지나 AP모드로 전환해 주십시오.

같은 게이트웨이에 묶인 네트워크로 세팅하시는 것이 DDNS나 포트포워팅 설정 시 편리하고 설정이후에도 트러블 발생 요지가 적습니다.

 

 

 

 

 

= 그런 이후 LS-XL/E의 메뉴얼을 확인하시어,,

 

DDNS 또는 그러한 기술을 이용한 외부로부터의 접속 방식이 지원되는지 확인하십시오. 버팔로 정도면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자체적으로도 지원할 듯 싶습니다만.... 정확한 도움이 못되어 죄송합니다.

내 네트워크 설정 상태를 그려주신 도식에서 보면,

 

 

 

 

 

1번을 메인게이트웨이로 쓰고...

 

 

2번을 1번과 유선으로 연결하고 AP로 설정하고,

 

 

3번은 1번과 유선으로 연결하고 AP로 설정하는 방법이 가능합니다.

 

 

AP로 설정된 공유기의 유선포트는 허브로 동작합니다.

 

 

다른말로 하면 무선은 무선대로 동작하고 유선용 포트에 유선 장비를 연결해도 동작한다. 입니다..

2번과 3번이 왜 브릿지로 묶였는지 모르겠군요..

 

 

포트 1은 뭐고 포트2는 뭐고 외부는 뭐죠?

근본적인 부분을 뒤늦게 질문하는 꼴이라 죄송합니다.